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맞춤법25

몰아부치다 vs 몰아붙이다 몰아부치다 vs 몰아붙이다 어떤 것이 맞는 것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고 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몰아붙이다' 가 맞습니다. 알쏭달쏭 긴가민가한 표현 중 하나죠? 저도 쓰면서 가끔 어느것이 맞는 표현인가, 알고 있으면서도 다시한번 찾아보기도 합니다. 그런데 우리가 흔히들 부치다. 라는 표현을 쓰잖아요? 부치다 라는 말이 틀린 말은 아니고, 없는 단어가 아닌데, 왜 '몰아부치다'가 되지 않는지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몰아붙이다 (품사: 동사) (발음: 모라부치다) 표준한국어대사전 발췌 1. 한쪽 방향으로 몰려가게 하다. 2. 남을 어떤 상황이나 방향으로 세게 몰다. 3. 여유를 주지 않고 계속해서 몰아붙이다. 예문 그는 죄가 없는 사람을 범인으로 몰아붙였다. 잡동사니들을.. 2023. 1. 20.
다행히 vs 다행이 다행히 vs 다행이 어떤 것이 맞는 것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고 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다행히' 가 맞는 말입니다. 예전 저의 포스팅에도 언급한 적이 있는데요. -히, -이 가 잘못 쓰이는 경우나 바꾸어 쓰는 실수를 하게 됩니다. 정말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다행 (多幸)히 (품사: 부사) 1. 운수가 좋음 2. 일이 좋게 됨. 3. 뜻밖에 잘 됨. 관용구: 불행 중 다행 예문: 다행히도 시험에 지각하지 않았어. 다행히도 일이 잘 해결되었어. 다행히 길이 잘 되어있어서 찾아오기가 쉬웠어. 다행히는 '다행'이라는 명사에 '-히'라는 접미사가 붙어서 부사가 된 말입니다. 다행이는 존재하지 않는 말로써 검샛하면 나오지 않아요. 그런데 우리가 다행이다. 라는.. 2023. 1. 16.
돌멩이 vs 돌맹이 돌멩이 vs 돌맹이 어떤 것이 맞는 것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고 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돌멩이' 가 맞습니다. 모음 중 'ㅐ'와 'ㅔ'는 서로 발음이 거의 비슷하다못해 똑같기 때문에 흔히들 바꿔적는 경우가 많아요. 우리가 평소 이야기하면서 바꿔말하면 틀려도 아무말 안하겠지만, 글로 쓸 때는 헷갈리는 경우가 있죠. 혹시나 틀리면 괜히 민망하구요. 이번에 정확하게 알고 넘어가자구요. 돌멩이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발췌 (명사) 돌덩이 보다 작은 돌. 유의어: 괴석, 돌, 돌팔매 돌멩이의 순우리말 = 차돌멩이(자그마한 차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2023. 1. 3.
들르다 vs 들리다 들르다 vs 들리다 가는 길에 들르다. 가는 길에 들리다.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 고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가는 길에 들르다 가 맞는 표현입니다. 우리가 흔히 헷갈리는 표현 중에 하나지요? 들르다. 와 들리다. 따로 쓰면 다른 말인 줄 알면서도, 대화를 할 때는 왜 이렇게 헷갈리는 지요. 특히 저처럼 지역분들이 사투리를 쓸 때, 굉장히 많이 헷갈리는 단어 중 하나입니다. 물론 저도 헷갈려서 찾아보기도 했고요. 실제로도 들리다 를 아직도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있지요. "어제 책 한 권을 샀는데, 가는 길에 들러서 너에게 주고 갈게." 라고 해야 올바른 표현입니다. "가는 길에 들릴게." "가는 길에 들를게."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위에서.. 2022. 12. 1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