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맞춤법25

결기 vs 객기 , 어떨때 쓰이는 말일까요? ✅ 결기 vs 객기 – 비슷하지만 완전히 다른 단어우리말에는 ‘비슷하게 생겼지만 전혀 다른 뜻’을 가진 단어들이 많습니다.**결기(決氣)**와 **객기(客氣)**도 그 중 하나인데요,말소리도 비슷하고 다소 격한 느낌을 주지만 완전히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1. 결기 (決氣)결기란,“어떤 일에 굳게 마음을 먹고 용감하게 밀어붙이는 기세, 결단력”을 뜻합니다.✔ 긍정적인 뜻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고,✔ 정의감, 결단력, 자기 신념이 포함되어 있어요.📌 결기 예문“그는 부당한 명령에 결기를 품고 사표를 던졌다.”“정의로운 결기로 불의를 참지 않았다.”“어린 나이에도 결기 있는 눈빛이 인상 깊었다.”➡️ ‘결기’는 신념 있는 용기, 바른 소신에서 나오는 단단함입니다.🔷 2. 객기 (客氣)객기란,“이.. 2025. 5. 6.
‘되요’ vs ‘돼요’ / ‘않되요’ vs ‘안돼요’ 헷갈리는 맞춤법 정리! 한국어 맞춤법 중에서 사람들이 가장 자주 헷갈리는 표현이 바로‘되요’ vs ‘돼요’, 그리고 **‘않되요’ vs ‘안돼요’**입니다.비슷하게 들리지만, 맞춤법에서는 아주 중요한 차이가 있어요.이제 헷갈리지 않게 하나하나 정리해볼게요!1️⃣ 되요 ❌ vs 돼요 ✅❌ 되요는 틀린 말입니다!‘되요’는 많은 사람들이 말할 땐 자연스럽게 쓰지만,문법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표현이에요.✅ 돼요는 맞는 표현입니다!‘되다’의 현재형은 ‘되어요’인데요,구어체에서는 이를 줄여서 **‘돼요’**라고 씁니다.→ 되어요 → 돼요📌 예문 비교“지금 가도 되요?” ❌“지금 가도 돼요?” ✅“이거 내가 해도 되요?” ❌“이거 내가 해도 돼요?” ✅2️⃣ 않되요 ❌ vs 안돼요 ✅여기도 마찬가지예요!일단 ‘않되요’는 틀린 표현이고,‘안.. 2025. 5. 1.
(정답을) 맞추다 vs 맞히다 맞추다 vs 맞히다 어느 것이 맞는 것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고 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맞히다’가 맞는 말입니다. 우리가 정말 많이 헷갈려하는 단어들 중 하나 일 것 같아요.정말 많이 쓰는데도 잘못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맞히다는 적중하다의 의미가 있어서 정답을 골라낸다는 의미를 가지지만 맞추다는 대상끼리 서로 비교한다는 의미를 가져서 답안지를 정답과 비교해보다 같은 경우에만 답을 맞추어보다로 쓸 수 있어요.약간 혼란스러우실 수 있을 것 같은데, 맞추다는 기준을 맞추다/ 맞히다는 답을 맞히다.로 이해하면 훨씬 이해가 쉽게 될 수 있어요.그럼 두 단어의 차이를 알아볼까요?맞추다 [맏추다]1. 서로 떨어져있는 부분을 제자리에 맞게 대어 붙이다.예 - 깨진 조.. 2024. 11. 23.
~던지 vs ~든지 ~던지 vs ~든지 어느 것이 맞는 말일까요? 아름다운 우리의 글 한글! 알고 쓰면 더 아름답지요? 본론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둘 다 맞는 말이지만, “각 쓰임에 따라 다르다” 입니다. 먼저 ‘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든지 : 어느 것이 선택되어도 차이가 없는 둘 이상의 일을 나열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1. 나열된 동작이나 상태, 대상들 중에서 어느 것이든 선택되어 쓸 수 있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든지 ~든지 (예: 하든지 말든지)’ 구성으로 쓰일 때는 흔히 뒤에 ‘하다’라는 끝맺음말이 온다. 2. 실제로 일어날 수 있는 여러 가지 중에서 어느 것이 일어나도 뒤에 오는 구절의 내용이 성립하는 데 아무런 상관이 없음을 나타내는 연결 어미이다. ‘간에’ , ‘상관없이’ 같은 말이 뒤에 오면서 뜻.. 2024. 6. 28.
728x90
반응형